퇴직금 14일 지나도 안 들어왔다구요? 이렇게 대응하셔야 해요! 😤
“좀만 기다려주세요~”만 반복하는 회사? 진짜 조심하셔야 합니다!
퇴사했으면 퇴직금은 당연히 들어와야죠~
근데 2주가 지났는데도 입금 소식이 없다?
회사에 물어보면 “담당자가 출장 중이라서요
”, “지금 회계 마감 중이라서요
”
이런 말만 들리면… 진짜 속 터지쥬? 😫
퇴직금은 법적으로 지급 기한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어요!
지키지 않으면 ‘임금체불’이고, 처벌 대상까지 갈 수 있음다! ⚠️
오늘은 퇴직금 못 받았을 때
어디에 신고하고,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
현실적인 방법들 싹 정리해드릴게요! 💪
“아… 그냥 기다리면 주겠지…”
이 생각은 NO!! ❌
퇴직금 미지급 상태 오래 방치하면
진짜 손해도 손해지만,
법적 대응 타이밍도 놓칠 수 있음다!
그래서 반드시 '언제까지’ 받아야 하고,
그걸 어기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
정확히 알고 있어야 해요!
1. 퇴직금은 언제까지 줘야 하나요?
근로기준법에 따르면👇
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 지급이 원칙이에요!
회사와 근로자가 ‘합의’하면 기한 연장 가능하지만,
이건 쌍방 합의일 때만 인정됨다!
즉, 일방적으로 “우리는 다음 달에 줄게요”는 안 됨 ❌
14일 넘으면 바로 ‘체불’로 간주!
2. 14일 지나도 안 주면 어떻게 되나요?
회사에서 계속 지급 미루면
다음 단계를 밟아야 합니다👇
① 내용증명 보내기
→ 퇴직금 지급 요구 및 기한 명시
② 고용노동부 진정서 접수
→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또는
→ 근로감독센터 (☎1350) 방문/전화 가능!
③ 체불임금 확인서 발급
→ 필요 시 법적 소송 또는 체당금 신청용으로 활용됨
3. 내용증명은 어떻게 보내나요?
내용증명은
‘내가 퇴직금을 요구했음을 법적으로 증명하는 문서’예요!
내용:
- 퇴사일
- 퇴직금 산정액
- 지급 요구 기한
- 미지급 시 대응 의사 (진정 or 소송)
📬 보내는 법:
- 우체국 인터넷우체국 or 직접 방문
- 등기로 발송 → 복사본, 영수증 꼭 보관!
이거 하나로 회사가 급 태도 바꾸는 경우 많슴다…
4. 진정 넣으면 어떻게 진행되나요?
고용노동부 진정 접수하면
근로감독관이 회사에 연락 후 조사 진행해요!
보통👇
- 진정 접수 후 1~2주 내 연락
- 회사가 인정하면 자진 시정 → 끝!
- 회사가 거부하거나 무응답 → 법적 조치 진행!
근로자가 퇴직금 입증할 자료만 잘 갖고 있으면
진짜 빠르게 해결되는 경우 많아요!
5. 퇴직금 소송까지 가야 하나요?
대부분은 진정으로 해결되지만,
회사에서 완강히 지급 거부하면
민사소송 or 형사고소도 가능해요!
특히👇
- 3개월 이상 체불
- 고의적 은폐
- 허위 문서 작성 등
요런 경우엔 형사처벌 대상까지 갈 수 있음다!
단, 소송은 절차가 복잡하니까
노무사 상담 또는 법률구조공단 이용 추천!
6. 못 받은 퇴직금, ‘체당금’으로 받을 수도 있나요?
YES!
회사가 아예 파산하거나
소송으로도 못 받는 경우엔
체당금 제도로 일부 보전 가능해요!
근로복지공단에서 신청 가능하고
상한선은 있지만
최대 1,0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어요~
단, 체불 사실 확인서 + 소송 서류 등
증빙 필요하니까 준비는 꼼꼼히 해야쥬!
💬 퇴직금 미지급 관련 Q&A
🔸 회사가 계속 “기다려달라”고만 해요. 그냥 기다려야 하나요?
👉 아닙니다! 퇴사 후 14일 지나면 바로 법적 조치 가능합니다.
내용증명부터 시작하세요!
🔸 합의 없이 14일 넘겼는데, “우리 규정은 1달 후 지급” 이래요…
👉 불법이에요! 회사 내 규정이 법 위에 있지 않아요~
🔸 진정 넣었다가 불이익 당하진 않을까요?
👉 법적으로 불이익 주는 것도 처벌 대상입니다. 걱정 말고 정당하게 권리 행사하세요!
퇴직금 미지급, 참지 말고 바로 대응하세요!
진짜 많은 분들이
"회사랑 잘 지내고 싶어서…"
"혹시 다음 회사에 불이익 갈까봐…"
이런 이유로 퇴직금 못 받은 걸 그냥 넘기시더라구요…😭
근데 말이쥬~
퇴직금은 내가 일한 대가고, 법적 권리예요!
불편하더라도, 정당하게 요구하셔야 합니다!
내용증명, 진정, 체당금까지
하나하나 순서대로 밟아가면
진짜 대부분 해결된답니다! 💪
혹시 퇴직금 미지급으로 속앓이 하셨던 경험 있으신가요?
회사 말만 믿고 기다리다
한 달 넘게 퇴직금 못 받은 적 있다거나,
내용증명 보내고 바로 입금됐던 경험 등등!
여러분의 경험을 댓글로 공유해주세요~
이런 정보는 실전에서 진짜 큰 힘 됩니다! 🙌
'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퇴직금 세금 절약을 위한 절세 전략 (2) | 2025.04.12 |
---|---|
퇴직금 지급 대상자: 비정규직과 계약직의 경우 (0) | 2025.04.11 |
퇴직금 지급 방법: 일시불 vs 분할 지급 비교 (0) | 2025.04.09 |
퇴직금 계산기를 활용한 손쉬운 산정 방법 (0) | 2025.04.08 |
퇴직금 지급 지연 시 대처 방법과 법적 대응 (0) | 2025.04.07 |